DA

[TIL] SQL - DDL과 DML

ha_data 2023. 12. 5. 00:07

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 

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관리

 * 테이블: 행과 열로 구성, 테이블마다 이름 지정

 *뷰: 가상의 테이블, 기존 테이블의 일부분만 보여주거나, 결합해서 보여줄때 사용

  • CREATE : 테이블 /뷰/ 인덱스 생성 
  • ALTER : 테이블/뷰/인덱스 구조 변경
  • DROP: 테이블/뷰/인덱스 삭제

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

데이터를 쿼리하거나 조작

  • SELECT : 질의
  • INSERT : 삽입
  • UPDATE : 수정
  • DELETE : 삭제

CREATE 테이블 생성

CREATE TABLE IF NOT ECISTS '테이블명' (컬럼명 및 컬럼 조건)

 

int unsigned : 음수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음수를 저장할 공간만큼 양수 저장 가능

NOT NULL : NULL 값 불가 

PRIMARY KEY : 테이블 중 하나의 컬럼을 기본 키로 지정. 모두 다른 값을 가져야 PK가능.  

 

char(n) vs. varchar(n)

char(n): n글자보다 짧은 글자를 넣어도 나머지 공간은 space로 넣음. 고정적으로 공간 n만큼 차지
varchar(n): 입력되는 길이에 따라 공간 차지. n보다 긴 문자열은 n만큼 출력하지만 입력한 값만큼 공간차지
char: 길이가 고정된 문자열의 경우 사용. 
varchar: 추가적으로 글자 길이 저장 가능. 데이터량이 많아질수록 시간계산에 시간소요.